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N 영어회화 정리 - I always stick to calssical.

by 유레카라이프 2023. 3. 1.

오늘의 영어 회화 / 23년 3월 1일 정리 내역

남 : Do you listen to music when you study or read? 넌 공부할 때나 책 읽을 때 노래를 들어?

여 : I like to listen to music while I'm working, but nothing too distracting. I get really easily distracted. 난 일할 때 음악 듣는 걸 좋아해. 근데 정신을 산란하게 하진 않는 노래로 들어. 난 쉽게 산만해지거든. 

남 : I can't listen to anything with words. So I always stick to classical. 나는 가사 있는 노래는 못 들어. 그래서 항상 클래식을 듣게 돼. 

여 : Well. Classical is definitely good. 응, 클래식은 확실히 좋아. I remember someone saying it actually helps you concentrate better. 누가 말했던 것 같은데 클래식이 집중을 더 잘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고 했던 것 같아. 

남 : And if also depends on where I am. If I'm at a coffee shop then I'll put on headphones and drown out the noise. But if I am in my room, I prefer it to be quiet. 그리고 어디 있느냐에 따라 달라. 만일 내가 카페에 있다면 그때 나는 헤드폰을 끼고 소음을 차단시켜. 근데 내 방에 있으면 잔잔한 게 좋더라. 

 


단어 해석

distract : 정신을 산만하게 하다 

ex 1) Don't distract me while I'm driving. 나 운전할 때 정신 좀 산만하게 하지마. 

ex 2) It can distract students from studying in classrooms. 이는 (그것은) 교실에서 학생들이 공부를 하는데 정신을 산만하게 할 수 있다. 

stick to : 고수하다 

ex 1) Most painters stick to their own style of painting. 대부분의 화가들은 그들 자신의 화풍을 고수한다. 

ex 2) Do you always stick to your promises? 약속을 하면 꼭 지키는 편인가요?

그 외 단어 : concentrate 집중하다 / put on 끼다 / depend on ~에 달려있다 / drown out 소음이 들리지 않게 하다 


문장 분석 & 추가 공부 + 댓글 참조

* Do you listen to music when you study~ ?

여기서 hear / listen을 살펴볼 수 있는데요. hear 같은 경우는 어떤 소리가 자연스럽게 들려오는 것이고, listen to는 뭔가 들으려고 의도적으로 집중하는 단어입니다. 

I listened to the music. 나는 음악을 들었다. / I heard music. 나는 음악 소리를 들었다. (음악이 흐르는 것을 들었다.)

소문으로 듣는 경우에도 일부러 적극적으로 알려고 한 것이 아니므로, hear를 사용합니다. I('ve) heard a lot about you. 당신에 대해 얘기는 많이 들었어요. 요 문장 같은 경우에는 인사치레로 많이 쓰인다고 하네요. 

더불어 난 영어 히어링이 약해요~라고 하려면 My listening skill is poor가 되고 My hearing is poor. 가 되면 '청력'이 좋지 않다는 뜻이 된다고 합니다.


추가 공부 : 접속사 s + v : 완전한 문장을 끌고 다니는 것이 접속사이다. 

* I know [that she is form England.] 목적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 : 나는 알고 있습니다~ 목적절이 이끄는 것을

* I know the fact that she is form England. 동격의 that / 이 문장의 경우 fact와 that이 같은 것을 뜻하므로 동격의 that으로서 접속사가 된다. 

* I know a girl that is form England. 여기서 that은 관계대명사 that으로 쓰였다. 뒤의 문장이 주어가 없으므로 주격 관계대명사로 쓰였다.

접속사 that과 관계대명사 that을 비교할 때, 접속사 that 같은 경우 완전한 문장을 이끌지만 관계대명사 that은 불완전한 문장을 이끈다.


 

*다음 문장에서 if와 that 중 알맞은 단어를 고른다면?
I asked my father [ if / that] he would play basketball with me. 나는 아버지께 나와 함께 농구를 할 것인지 물어봤다. 이때 문장은 물어보는 문장, 의문, 질문하는 문장, 뉘앙스이므로 if를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