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커핑테스트5

15. 커피 로스팅 기술과 함께 알아두어야 할 것들 15. 커피 로스팅 기술과 함께 알아두어야 할 것들 안녕하세요. 오늘 이 시간에는 열다섯번째 커피 이야기, 커피 원두 로스팅 기술 익히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로스팅에는 단품 로스팅과 함께 혼합 로스팅이 있습니다. 단품 로스팅은 한 가지 종류의 생두만을 로스팅하는 것이고, 이는 원두를 상품화하기 위한 기본적인 로스팅 방법인데요, 혼합 로스팅은 반면 몇 가지 종류의 생두를 섞어 로스팅하는 것을 뜻 합니다. 블랜드 커피를 만들 때는 유용하지만, 수분 수치가 다른 콩들은 넣어 하기 때문에 향미는 보장할 수 없는 것이 단점입니다. ■ 그리고 로스팅에 있어 시간 또한 매우 중요한 기술 중 하나인데요, 소형 로스터는 용량 70% 정도 생두를 시티로스트로 만드는데 약 15분에서 20분 정도가 걸립니다. 화력이 .. 2017. 10. 10.
13. 커피 맛 평가 - 커피 용법 정리 및 향미 평가방법 13. 커피 맛 평가 - 어떤 향미와 바디감이 좋은 커피일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커피 맛과 향미를 평가하는 법의 시리즈로 어떤 향미와 바디감이 좋은 커피인지, 함께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 먼저 커피의 향미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프래그랜스나 아로마, 바디감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이해를 하고 있어야 하는데요. 찬찬히 프래그랜스와 아로마부터 시작해볼께요. 1. 프래그랜스/아로마 :: 향의 강한 정도와 특징 - 향기를 음미하는 요소에는 크게 커피에 끓인 물을 붓기 전 분쇄된 가루에서 나는 향, 즉 프래그랜스와 물을 부었을 때 나는 향, 아로마가 있고 이는 아래 3단계로 평가 할 수 있습니다. 1) 컵에 넣은 커피 가루의 향을 물을 넣기 전에 음미합니다. 2) 크러스트를 흐트러뜨릴 때 '액체.. 2017. 10. 7.
10. 커피 평가 방법 및 평가 순서@ 10. 커피 평가 방법 및 평가 순서@ 안녕하세요. 오늘은 그간 배운 커피의 속성과 함께 커피를 평가하는 방법에 대해서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로스팅 강도를 살펴보며, 이 결과를 시트에 표기합니다. 향미 속성을 평가하는 방법부터 시작할게요 :) 1. 샘플을 분쇄한 후에 15분 이내에 끓인 물을 붓습니다. 이 전에 가루 상태에서 나는 향을 충분히 체크하고 평가하는데 끓인 물을 부어 크러스트를 건드리지 않고 3분에서 5분 정도 그대로 둡니다. 세번 정도 스푼으로 저어준 뒤에 크러스트를 깨는데 스푼으로 거품을 밀어내며 라이트하게 향을 맡습니다. 물을 붓기 전에는 평점을 미리 기록하고 다음 프래그랜스와 아로마 평점을 다시 한번 기록합니다. ○★ 2. 샘플 온도가 약 70도까지 내려간 뒤에 (끓인 물을 부은.. 2017. 10. 4.
9. 커핑 그리고 커빙방법, 커핑테스트 9. 커핑 그리고 커빙방법, 커핑테스트 안녕하세요. 오늘 알아보는 커피 이야기, 아홉번째 시간에는 커핑 그리고 커핑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먼저 커핑이란 커피의 생산 이력을 확인하고, 고유의 향미를 확인하는 작업이며 이 작업을 통해 일반 커피와 차별화된 스페셜티 커피만의 향미를 구분 할 수 있습니다. 어떤 커피라도 커핑은 필수이지만 목적은 다를 수 있습니다. 코모디티 커피의 경우에는 결점두가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그 안에 다른 향미를 찾아내고 자사의 품질 기준에 맞는 커피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이며 결점두가 거의 없는 스페셜티 커피 같은 경우에는 장점을 찾아내기 위한 커핑을 합니다. 또한, 커핑은 경험이 많아야 판단 기준이 완성되기 때문에 경험자의 커핑 기록을 익혀두면 커핑 스킬을 빨리 발전시킬 수 .. 2017. 10. 2.
6. 스페셜티 커피의 역사와 세계+생두의 품질 스페셜티 커피의 역사와 세계 스페셜티의 커피의 개념은 그 역사가 20년이 채 되지 않았습니다. 이전부터 물론 스페셜티 커피는 존재하였지만 세계 공통의 새로운 커피 평가 기준이 생겨나면서 인데요, 기존의 커피와 다르게 '품질'면에서 더 높은 커피를 만들기 위해 1982년, SCAA설립을 시작으로 스페셜티 커피의 역사가 시작됩니다. SCAA는 미국 크눅센커피의 에르나 크눅센이 1978년 프랑스 커피국제회의에서 '특수한 지리적 기후가 좋은 향미의 커피를 만든다'는 개념에서 시작되었고, 이 당시는 코모디티 커피와 다른 정도로만 인식할 뿐, 이 스페셜티에 대한 개념은 확립이 덜 된 상태였습니다. 1986년, 커피테스트의 기초가 완성되다. 테드 링글이 국제커피기구 ICO의 도움으로 커피감별핸드북을 펴내고, SCAA.. 2017. 9.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