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재료 건강이야기177

PMS증후군에 좋은 음식 : 생리 전 증후군 PMS증후군에 좋은 음식 : 생리 전 증후군 안녕하세요. 오늘 알아보는 건강 이야기의 주제는 PMS증후군, 생리 전 증후군에 좋은 음식이야기입니다. 평소 생리 시작전에 우울감과 함께 무기력한 상태, 나른함, 졸음, 초조함을 느끼시는 분들은 꼭 포스팅을 읽으신 후에 방법을 실천하셔서 개선되는 효과가 있기를 바라며, PMS증후군 이야기! 같이 알아볼게요 :0 먼저 PMS증후군은 위에 말씀드렸듯 생리 전 우울감과 초조함 등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증후군입니다. 여성들은 80% 이상 이 증상을 자각하고 있을만큼 흔한 증상이며, 그 원인은 배란 후부터 생리가 시작되기까지 프로게스테론의 분비가 늘어나기 때문인데요, 더불어 월경 전에는 뇌내 전달물질인 엔돌핀, 세로토닌과 같은 물질이 저하되는 것도 요인 중 하나라고 볼 .. 2018. 3. 18.
냉증 & 빈혈에 좋은 음식 : 알고 먹는 식재료 건강이야기 냉증 & 빈혈에 좋은 음식 : 알고 먹는 식재료 건강이야기 안녕하세요 :) 오늘 가져와 본 식재료 건강이야기의 주제는 냉증과 빈혈에 좋은 음식! 여성분들이 보시면 좋을만한 이야기를 들고 왔어요. 먼저 여성에게 많이 보이는 증상인 빈혈과 냉증은 혈액순환이 불량이거나 영양 부족, 다이어트와 함께 생리로 인한 출혈 등이 원인인데, 더불어 이 냉증과 빈혈을 방치하면 혈액순환이 더 나빠지는 악순환을 낳아서 면역력을 떨어뜨리고 내장 기능을 둔화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더불어 컨디션 난조를 불러일으키고 불임과 부인병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 냉증과 빈혈. 하지만 꾸준한 운동과 함께 불규칙한 음식 섭취를 개선시키면 충분히 개선될 가능성이 많은 질병 중 하나이니 함께 공부하시고 많은 효과를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먼저 여성에게.. 2018. 3. 16.
기미에 좋은 음식, 피부 미백 주스 기미에 좋은 음식, 피부 미백 주스 안녕하세요! 오늘 식재료 건강이야기의 주제는 기미 제거 음식, 피부가 좋아지는 피부 미백 주스에 대해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 나이가 들어, 혹은 출산 이후 기미가 많아진 분들이 많으실텐데 꼭 한번쯤 시도해보시고 좀 더 맑은 피부를 갖게 되시기를 소망하며... 시작할게요♡ 먼저 기미의 원인!과 함께 알아보는 기미에 좋은 음식, 기미가 발생하는 이유는 여성 호르몬과도 관계가 있는데 임신을 하거나 생리가 가까워지면 '프로게스테론'이라는 호르몬의 분비가 왕성해집니다. 이 프로게스테론은 기미의 원인이라고 할 수 있는 멜라닌 세포를 자극하는 호르몬의 분비를 늘리는 작용이 있어 생리가 가까워지면 멜라닌 색소 또한 늘어나기 마련이죠. 또한 이 호르몬은 스트레스에도 영향을 받기 .. 2018. 3. 14.
연 /연자육 /연실 효능 및 알고 먹는 한약재 이야기 연, 연자육, 연실 효능 및 알고 먹는 한약재 이야기 안녕하세요. 오늘 알아보는 '알고 먹는 한약재 이야기'의 주인공은 수련과의 식물로 생약명 연자육, 혹은 연실로 알려져 있는 '연' 입니다. 이 연은 홍색이나 백색으로 꽃이 피는 수중식물인데 불교를 상징하는 꽃으로도 알려져 있죠, 더불어 이 연꽃의 씨를 부르는 이름은 매우 다양한데 '연실', '연자', '석련자'라고도 부르며 대부분 이를 채취 후 말려 약재로 쓰곤 합니다. 또한 껍질을 벗긴 연씨를 연육이라고 하는데 이 맛이 매우 달기 때문에 '감석련'이라고도 하는 명칭이 붙어 있습니다. ◆ 연자육, 연실 성분 이 연꽃의 열매에는 씨눈과 꽃대로 나눴을 때, 네룸바인, 로투신, 리엔지닌 등이 있고 근경에는 아스파라긴과 타이로신 등이 들어있는데 특히 알칼로이.. 2018. 2. 16.
나팔꽃 효능 / 흑축 효능 : 알고 먹는 한약재 이야기 나팔꽃 효능 / 흑축 효능 : 알고 먹는 한약재 이야기 안녕하세요. 오늘 알아보는 알고 먹는 한약재 이야기의 주인공은 생약명 '흑축'으로도 알려져 있는 나팔꽃입니다. 나팔꽃은 메꽃과에 속하는 1년생 덩굴성 식물로 전주에는 거친 털이 분포되어 있는 식물이기도 하죠, 줄기가 무려 2M정도까지 자라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10월에 열매를 맺어 말린 것을 흑축 또는 견우자라고 부르며 약용으로 쓰고 있습니다. ★나팔꽃의 원산지는 열대아시아와 중국 남서부, 히말라야 산기슭이라는 설이 있지만 아직까지 그 원산지가 확실하게 밝혀지지는 않은 식물이에요. 다만 일본과 한국, 대만 등 동남아시아에 분포되어 우리나라에서는 농가나 정원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식물이죠. 중국에서는 약 1,500년전 송나라 시대에 이 흑축을 약.. 2018. 2. 15.
민들레 효능 및 포공영, 알고 먹는 건강 약재 이야기 알고 먹는 건강 약재 이야기 알고 먹는 건강 약재 이야기 안녕하세요. 오늘 알아보는 건강 식재료 이야기는 생약명 '포공영'으로도 알려져 있는 민들레 이야기입니다 :) 민들레는 길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식물인데 국화과에 속하는 키 작은 풀로 땅 속 깊이 뿌리를 내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죠. 약간 이른 봄이 되면 민들레는 꽃대가 올라와 노란빛의 예쁘고 작은 접시 같은 꽃을 한송이씩 피우게 되는 식물입니다. 이 꽃이 지고 나면 솜털이 달린 씨가 바람에 날아가 번식을 하게 되고 이 꽃이 피기 전 전초를 채취해서 말린 것을 곧 '포공영'이라는 생약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민들레의 분포 지역은 한국과 만주, 대만과 일본에 서식을 하고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들판이나 산야에 자생하며 한약 재료로도 많이 쓰이는 식물입니다... 2018. 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