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723 잣 요리법, 간단 잣죽 만드는 법, 잣스프 (환자에게 좋은 음식) 오늘 올리는 식재료 이야기는 잣을 활용한 요리들입니다. 잣은 식이섬유가 풍부한 식품 중 하나인데요, 때문에 장운동을 활발하게 도와주고 변비 또한 예방할 수 있는 효능이 있습니다. 레시틴 성분 또한 풍부한데 이것이 뇌에 도움이 되어 두뇌발달을 돕는 효능도 있습니다. 그럼, 잣을 활용한 요리 알아볼께요 :) 1) 잣 죽 준비 할 재료는 쌀 1컵과 잣 1/2컵, 물 6컵, 소금 약간과 설탕 약간 필요합니다. 만드는 방법은 @1. 먼저 쌀을 깨끗이 씻고 물에 3시간 이상 불려주세요. @2. 어느 정도 쌀이 불려졌으면 물기를 제거해 준 후 믹서기에 쌀을 넣고 갈아줍니다. @3. 다음 잣도 살짝 헹구어내어 믹서에 갈아주세요. ( 이 때 꼭 따로따로 갈아주세요 :) ) @4. 다음 두툼하고 깊은 냄비에 물, 쌀을 간.. 2017. 5. 19. 2017.05.17 수요일 주식 데일리 현황 코스피 전약후약, 기관 -2,189 코스닥 전강후약, 외인 +569 2017. 5. 18. 영화 비스티 보이즈 줄거리 및 후기 / 감상문 (스포주의 ★) 영화 '비스티 보이즈'는 2008년 개봉된 작품으로 하정우, 윤계상을 주인공으로 하는 윤종빈 감독의 한국 작품이다. 윤종빈 감독은 '용서받지 못한 자' 라는 2천만원짜리 졸업영화로 윤종빈이란 사람을 충무로의 샛별로 떠오르게 만든 작품이다. 대략의 줄거리를 설명하자면 호스트 바에서 일하는 남자와 화류계에서 일하는 여자들의 이야기. 대한민국 최고의 럭셔리한 신공간 청담동을 주름잡는 호스트들의 이야기다. 선수들은 화려한 청담동의 유흥업소에서 여성 고객들을 접대하며 자신들의 스타일리쉬한 삶을 유지한다. 여성들에게 초이스되기 위해 체력 관리는 물론 외모와 스타일을 가꾸며 자신에게 투자를 아끼지 않고, BMW를 타고 청담대로를 질주하는 그들의 낮은 밤보다 더욱 역동적이다. 그러던 중 승우(윤계상 분)은 과거에는 부.. 2017. 5. 18. 금연하는 법 / 금연음식 6가지 - 담배 끊기에 좋은 음식 알아봐요 :) 안녕하세요. 오늘은 금연을 도와주는 음식들과 흡연하는 분들에게 좋은 음식들 몇 가지를 소개해봅니다. 최근에는 보건소에서 금연침도 무료로 제공되고, 금연학교같은 시스템이 있어 상담이 가능하다고 하는데요, 금연하고 싶으신 분들, 저희 아버지와 더불어 추천드립니다 :0 금연하는 법, 흡연자에게 좋은 음식들 소개해보겠습니다. 1. 커피대신 녹차나 물, 그 외 차 마시기. 제 식재료 카테고리에는 차 종류에 대한 글도 많은데요, 시간나실 때 한번 읽어보시길 바라며... 금연 중에는 식사 후에 커피가 그렇게 좋지 않다고 하네요. 커피같은 카페인이 들어있는 음료가 흡.연.욕.구!! 를 일으킨다는 연구도 있을만큼 금연하는 사람에게는 독약이라고 합니다. 작심삼일을 불러일으키는 음료이죠. 저는 커피 중독자라 커피 끊는 것이.. 2017. 5. 18. 2017.05.15 월요일 주식 데일리 현황 2017.05.15 월요일 주식 데일리 현황 코스피 전강후강 외인빠지며 기관 살짝 들어왔습니다. 코스닥 역시 전강후강, 외인 살짝 들어오고 기관 움직임 거의 없었습니다. 업종은 top 5 만 보자면 전문소매 생명보험 식품과 기본 식료품 소매 백화점과 일반상점 문구류가 주를 이루었고, 테마는 풍력에너지 정보보안 엔터테인먼트 여행/관광 백화점 이 상위였습니다. 2017. 5. 17. 숯이란? 숯의 효능과 숯활용법 (숯 효능) 안녕하세요 :) 오늘은 평소 숯불 갈비집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숯에 대해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저는 아토피 및 비염이 있는지라 먼지를 극도로 싫어해서 집안 곳곳 숯을 가져다 놓곤 하는데요, 대체로 인터넷으로 구입해 사용합니다. 숯이란 목재를 공기의 공급을 차단한 뒤 가열하거나 공기를 아주 적게 하여 가열했을 시에 생기는 고체 생성물을 말하는데요, 재료로는 보통 나무가 사용되고 우리나라에서는 참나무류가 주로 사용되어 참숯을 얻습니다. (숯가마를 쌓고 그 안에 목재를 넣어 굽는 방식입니다.) 목탄이라고도 하는 숯은 대체로 공기가 차단된 숯가마에서 구워냅니다. 종류로는 경탄, 연탄, 백탄 등이 있는데 숯은 인간이 불을 발견한 이후부터 생겼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습니다. (기록에는 약 6천년전부터 사용.. 2017. 5. 17. 이전 1 ··· 274 275 276 277 278 279 280 ··· 288 다음